http://www.zoglo.net/blog/kim631217sjz 블로그홈 | 로그인
시지기-죽림
<< 11월 2024 >>
     12
3456789
10111213141516
17181920212223
24252627282930

방문자

조글로카테고리 : 블로그문서카테고리 -> 문학

나의카테고리 : 詩人 대학교

시작할 때 "화학조미료"같은 관념어 절대 "반입금지 명령"!...
2016년 12월 12일 00시 34분  조회:2641  추천:0  작성자: 죽림
8. 관념어를 버린다
 
위의 시를 인용한 김에 한 가지 더 짚고 넘어가자. 시에서 관념어는 될 수 있는 대로 넣지 말아야 한다. 시에 관념어가 들어가면 음식에 화학조미료를 넣은 것처럼 느끼해진다.
 
이별은 손끝에 있고
서러움은 먼데서 온다
강 언덕 풀잎들이 돋아나며
아침햇살에 핏줄이 일어선다
마른풀잎들은 더 깊이 숨을 쉬고
아침 산그늘 속에
산벚꽃은 피어서 희다
누가 알랴 사람마다
누구도 닿지 않은 고독이 있다는 것을
돌아앉은 산들은 외롭고
마주보는 산은 흰 이마가 서럽다
아픈 데서 피지 않은 꽃이 어디 있으랴
슬픔은 손끝에 닿지만
고통은 천천히 꽃처럼 피어난다
저문 산 아래
쓸쓸히 서 있는 사람아
뒤로 오는 여인이 더 다정하듯이
그리운 것들은 다 산 뒤에 있다
 
김용택 시 -『사람들은 왜 모를까』전문
 
이 시에는 이별, 서러움, 고독, 외로움, 서러움, 슬픔, 고통, 그리움 등 우리가 알아야 할 관념어 전시장 같다.
 
시에서 좋은 표현이 무엇보다 중요하다. 하지만 시에서는 부분의 좋은 표현을 희생시켜 전체를 살리려는 노력이 필요한 것이다. 부분의 좋은 표현이 아까워 버리지 못하면 시 전체가 실패하는 아픔을 맛본다. 아무리 좋은 표현이라도 시 전체를 위해서 과감하게 버릴 줄 알아야한다.
 
그리고 관념어는 풀어서 써야 한다. 이를테면 ‘고독하다’ ‘외롭다’ 라는 표현 보다는 고독한 것을, 외로운 것을 비유로 나타내야 한다는 것이다. 그래야만 시에서 감칠맛이 난다.
 
관념어를 어떻게 풀어 쓸까? 사랑에 대한 시 한 편을 보자.
 
누가 몰래
내 마음을 훔쳐갔다
 
머리를
두 갈래로 묶어
토끼같이 귀여운
내 짝꿍이
훔쳐간 게 틀림없지만
 
아무한테도
말하지 않았다
 
신천희 동시 -『도둑』전문
 
이 시를 보면 좋아한다, 사랑한다는 말이 한 마디도 안 들어갔다. 그렇지만 읽어보면 좋아한다, 사랑한다 말하고 있다.
 
이번에는 이별의 아픔을 풀어 써보자.
 
서울에서
부산이 아무리 멀다지만
 
나하고
다툰 뒤 등을 돌려버린
짝꿍 얼굴보다야 더 멀까
 
돌아 선
짝꿍 얼굴을 마주보려면
 
지구를
한 바퀴 돌아야 하는 걸
 
신천희 동시 -『흥!』전문
 
이 시에서도 헤어져서 아프다 이런 말은 전혀 나오지 않는다. 하지만 시를 읽으면 헤어진 것이 얼마나 아픈지 드러난다. 관념어는 그대로 쓰는 것이 아니라 이렇게 풀어 쓰는 것이다.
 
 
 

[필수입력]  닉네임

[필수입력]  인증코드  왼쪽 박스안에 표시된 수자를 정확히 입력하세요.

Total : 1570
번호 제목 날자 추천 조회
1570 사투리는 향토인의 살과 피이자 호흡이다... 2022-06-08 0 2045
1569 나는 어떻게 조선족이 되었나 / 남영전 2021-12-20 0 1698
1568 [문단소식]- 훈춘 김동진시인 "풍경소리" 울리다... 2021-09-07 0 1701
1567 [시공부사전] - 담시(譚詩)? 2021-05-29 0 2026
1566 하이퍼시 명언 21 / 최흔 2021-05-25 0 1933
1565 하이퍼시 명언 20 / 최흔 2021-05-25 0 1928
1564 하이퍼시 명언 19 / 최흔 2021-05-25 0 1834
1563 하이퍼시 명언 18 / 최흔 2021-05-25 0 1875
1562 하이퍼시 명언 17 / 최흔 2021-05-25 0 1802
1561 하이퍼시 명언 16 / 최흔 2021-05-25 0 1847
1560 하이퍼시 명언 15 / 최흔 2021-05-25 0 1893
1559 하이퍼시 명언 14 / 최흔 2021-05-25 0 1739
1558 하이퍼시 명언 13 / 최흔 2021-05-25 0 1927
1557 하이퍼시 명언 12 / 최흔 2021-05-25 0 1931
1556 하이퍼시 명언 11 / 최흔 2021-05-25 0 1891
1555 하이퍼시 명언 10 / 최흔 2021-05-25 0 1900
1554 하이퍼시 명언 9 / 최흔 2021-05-25 0 2010
1553 하이퍼시 명언 8 / 최흔 2021-05-25 0 1829
1552 하이퍼시 명언 7 / 최흔 2021-05-25 0 1709
1551 하이퍼시 명언 6 / 최흔 2021-05-25 0 1913
1550 하이퍼시 명언 5 / 최흔 2021-05-25 0 1849
1549 하이퍼시 명언 4 / 최흔 2021-05-25 0 1849
1548 하이퍼시 명언 3 / 최흔 2021-05-25 0 1910
1547 하이퍼시 명언 2 / 최흔 2021-05-25 0 1970
1546 하이퍼시 명언 1 / 최흔 2021-05-25 0 1880
1545 토템시에 대한 탐구는 여전히 현재 진행형이다 / 김룡운 2021-05-24 0 1802
1544 토템과 민족문화 / 현춘산 2021-05-24 0 1704
1543 남영전 토템시의 상징이미지/ 현춘산 2021-05-24 0 2056
1542 [록색문학평화주의者] - "시인평화", 남의 일이 아니다. 2021-05-10 0 2132
1541 시인 최기자/ 소설가 허련순 2021-05-03 0 1910
1540 조선족 시단과 시인들...6 2021-03-02 0 1964
1539 조선족 시단과 시인들...5 2021-03-02 0 2085
1538 조선족 시단과 시인들...4 2021-03-02 0 1849
1537 조선족 시단과 시인들...3 2021-03-02 0 2231
1536 조선족 시단과 시인들...2 2021-03-02 0 2153
1535 조선족 시단과 시인들...1 2021-02-19 0 2242
1534 [시공부] - 투르게네프 산문시 2021-01-18 0 2405
1533 [시공부] - 김기림 시인 2021-01-18 0 2751
1532 [타산지석] - 늘 "이기리"... 꼭 "이기리"... 2020-12-28 0 2624
1531 토템시/ 범= 남영전, 해설= 현춘산(8) 2020-10-10 0 2510
‹처음  이전 1 2 3 4 5 6 다음  맨뒤›
조글로홈 | 미디어 | 포럼 | CEO비즈 | 쉼터 | 문학 | 사이버박물관 | 광고문의
[조글로•潮歌网]조선족네트워크교류협회•조선족사이버박물관• 深圳潮歌网信息技术有限公司
网站:www.zoglo.net 电子邮件:zoglo718@sohu.com 公众号: zoglo_net
[粤ICP备2023080415号]
Copyright C 2005-2023 All Rights Reserved.